암 빅데이터 플랫폼 내 공공데이터의 범위와 활용성
- 암 환자 라이프 사이클에서 공공데이터의 범위
- 전체 암 환자 라이프 사이클을 포함하는 암 데이터베이스를 상정하였을 때, 공공데이터는 전주기적으로
수집되어야 함. 암 환자 치료 시 진료비 관련 정보뿐 아니라 생활습관, 가정환경, 직업 특성 등 사회·경제적 배경에
대한 데이터가 포함됨. 병원의 암 진료정보뿐 아니라 다양한 공공기관의 다양한 환경정보가 통합되어야 함.
- 암 환자 라이프 사이클에서 암관리 데이터의 위상
- 우선적으로 통합되는 암관리사업 데이터는 주로 암 환자로서 입원하는 기간에 생성되는 자료임.
암등록 사업의 자료는 치료가 시작되는 시점과 사망 시에 생성되는 자료이며, 암 정책지원 사업의 자료는 치료 기간 동안
진료비 발생 시 생성됨. 암 검진사업 자료는 대부분 40대 이후 5대 암종 발암 위험군에 속하기 시작하면서 생성되며,
호스피스 완화의료 사업 자료는 말기 암으로 치료가 중단되고 사망에 이르기까지 통증 완화 의료행위에서 생성됨.
- 암 환자 라이프 사이클에서 공공데이터의 범위
- 전체 암 환자 라이프 사이클을 포함하는 암 데이터베이스를 상정하였을 때, 공공데이터는 전주기적으로 수집되어야 함.
- 암 환자 라이프 사이클에서 암관리 데이터의 위상
- 국가암관리사업본부 내 데이터는 주로 암 환자로서 입원하는 기간에 생성되는 자료임.
- 암등록감시부: 치료가 시작되는 시점과 사망시에 생성됨
- 암관리정책부: 치료 기간 동안 진료비 발생 시 생성됨
- 암예방검진부: 40대 이후 5대 암종 발암 위험군에 속하기 시작하면서 생성됨
- 중앙 호스피스센터: 말기 암으로 치료가 중단되고 사망에 이르기까지 통증 완화 의료행위에서 생성됨
암환자 라이프 사이클에서 공공부문 데이터의 범위와 위상
- 암 공공데이터의 연구 활용
-
- 전주기적 공공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다양한 분야의 연구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
- 암 예측분석: 암 발생 예측모형 개발, 암 역학지표 개발 등
- 암 진단분석: 암 진단비용 경제성 분석, 암 검진의 생존기간 연장 효과 편의 분석 등
- 장기 코호트 분석: 암 치료 효과, 예후 요인, 정책 효과 장기 코호트 분석 등
- 암 생존분석: 암 순 생존률, 경쟁 위험, 생존자 이환율, 경제 부담 분석 등
공공데이터와 임상데이터 연계 시 예상되는 연구 활용